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는 1968년 전남 장성 출신의 경제관료 겸 기업 CEO다. 서울대 경제학, 미국 미주리주립대 석·박사 후 기재부·한국은행에서 거시경제·통상 정책을 다졌고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으로 원전 수주를 주도했다. 2025년 6월 29일 이재명 정부 첫 산업부 장관 후보로 지명됐으며, 7월 17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반도체·이차전지 세액공제, 원전·재생에너지 병행, 수출 1조 달러 달성 전략을 제시하는 한편 주식 이해충돌 문제 해명과 재산 내역으로도 주목받았다.
Ⅰ. 공직 입문과 거시경제 정책 리더십
1968년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난 김정관 후보자는 ‘농촌 출신 관료의 성공 신화’로 불린다. 광주제일고와 서울대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주리주립대에서 경제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 산업조직론과 개발금융을 연구했다. 36회 행정고시로 재무부 산업관세과 사무관에 발탁돼 우루과이라운드 철강·자동차 관세 보고서를 주도하며 ‘숫자와 통계로 싸우는 협상가’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대통령비서실 경제보좌관실 파견,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근무를 통해 개발도상국 인프라 파이낸싱과 채권 발행 메커니즘을 익혔고, 기획재정부 물가·사회·종합정책과, 경제분석과를 거치며 성장동력특별법·고용안정패키지 입법과 세계금융위기 후 통화스와프 확대, 확장재정 로드맵을 설계했다. 2015년 기재부‑한국은행 첫 국·과장급 인사교류 대상자로 한국은행 국제경제부 부국장으로 전보돼 자본유출입 실시간 모니터링과 채권시장 크라우드 데이터 체계를 도입했고, 2017년 국무총리 표창·한국은행 총재 특별공로상을 동시에 수상했다. 세계은행·OECD·APEC 무대에서도 한국 대표단 어젠다팀장을 맡아 다자협상 경험을 쌓았으며, 동료들은 그를 “보고서의 정밀함과 협상장의 순발력을 겸비한 ‘데이터 드리븐’ 1세대 관료”로 평가한다.
Ⅱ. 두산그룹에서의 디지털·ESG 혁신과 글로벌 원전 외교
2018년 10월 그는 기재부 정책기획관을 사임하고 두산그룹 경제연구소 디엘아이(DLI) 전략지원실 부실장(부사장)으로 전격 영입돼 “공공 마인드와 시장 속도”를 결합한 ‘Doosan NEXT 2030’ 디지털 혁신 프로젝트를 출범시켰다. 사물인터넷 예지정비, AI 품질검사, 블록체인 부품이력 관리 시스템으로 12개 공장 다운타임을 평균 18 % 줄였고, ‘2045 넷제로 로드맵’과 Scope 3 탄소관리 툴킷으로 2024년 CDP 기후변화 A‑ 리더십 등급을 획득했다. 2019년 두산경영연구원 원장 겸 대표이사로 승진한 뒤 내부 빅데이터를 활용해 ‘성장‑수익성‑탄소’ 최적화 플랫폼을 개발, 전사 의사결정 시스템(D‑PULSE)에 내재화했다. 2023년 두산에너빌리티 마케팅부문장, 2025년 사장으로 초고속 승진해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국제 입찰에서 민관 합동 ‘Team Korea’의 협상 총괄을 맡았다. APR1400 원전의 ‘Value‑for‑Money Matrix’를 제시해 질문 47건을 실시간 답변했고, CEZ‑수출입은행‑K‑Sure 합동 PF 금리를 25bp 낮춰 70억 달러 금융비용을 절감했다. 이 밖에도 알마티 복합화력발전(8억 달러), 아이다호 SMR 공동개발, 사우디 수소‑암모니아 밸류체인 투자 등을 성사시키며 두산의 신에너지 포트폴리오를 확장, 재계로부터 “산업 현장의 언어로 정부를 설득할 줄 아는 첫 경제관료 CEO”란 평가를 받았다.
Ⅲ. 장관 후보 지명과 ‘산업‑통상‑에너지’ 통합 비전
2025년 6월 29일 이재명 대통령은 경제 5단체 추천을 반영해 김정관을 새 정부 첫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로 지명했다. 국회 산자중기위는 7월 17일 12시간 넘는 인사청문회를 열어 그의 재산(신고액 65억 원), 두산에너빌리티 주식 보유(11억 9천만 원) 및 폐결핵 병역 면제 논란을 검증했다. 김 후보자는 “임명 전 전량 백지신탁”을 약속하며 정책 비전으로 △반도체·배터리 생산량 연동형 세액공제(K‑CHIPS) △AI‑데이터센터 전력망 안정 대책 △철강·석화 구조조정 펀드 10조 원 △2030년 온실가스 40 % 감축 위한 원전‑재생 ‘투트랙 믹스’ △IRA·CBAM·IPEF 대응 통상 세이프가드 패키지 △첨단 제조인력 5만 명 재교육안을 제시했다. 야당은 “대기업 CEO 출신 장관의 공정거래·노동 균형”을 우려했으나 그는 “상생협력지수 개선 의무화”와 “중소기업 공급망 솔루션 오픈 API”로 답하며 “산업부는 성장과 공정의 균형추”라고 강조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그가 내놓은 ‘트리플 미션(수출 1조 달러·에너지 자립도 70 %·온실가스 40 % 감축)’의 실행력을 주목하면서, 주식 이해충돌 방지와 원전‑재생 조화의 제도화 과제가 남아 있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