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주 국정기획위원장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진보 성향 경제학자이자 정책 설계자로, 이재명 대통령의 오랜 정책 멘토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의 학문적 배경과 시민운동 참여, 그리고 정치권에서의 활약은 한국 사회의 경제 및 복지 정책에 깊은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이한주 위원장은 학문과 현실 정책의 가교 역할을 해온 대표적인 인물로, 이재명 대통령과의 오랜 인연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경제 및 복지 정책에 깊은 영향을 미쳐왔습니다. 그의 향후 행보는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방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될 것입니다.
학문적 배경과 초기 경력
1956년 서울에서 태어난 이한주 위원장은 경복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에서 생물학을 전공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경제학으로 진로를 전환하여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이공계와 사회과학을 모두 아우르는 그의 학문적 배경은 이후의 정책 기획과 연구 활동에서 통섭적 사고를 가능하게 한 중요한 자산이 되었습니다.
이후 경원대학교(현 가천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학문적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가천대학교에서 글로벌경제학과 교수, 경영대학원장, 부총장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그는 경제학 이론뿐 아니라 정책 실무에 밝은 교수로 알려졌으며, 특히 복지경제학과 재정정책, 기본소득 등에 대한 꾸준한 연구를 이어왔습니다.
이재명 대통령과의 인연
이한주 위원장과 이재명 대통령의 인연은 1986년 성남 지역 시민단체 토론회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사법시험 준비생이던 이재명 대통령과 시민운동에 참여하던 이한주 위원장은 서로의 철학과 비전을 공유하며 깊은 유대를 형성하였습니다.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으로 취임한 2010년부터는 정책 멘토로서 무상복지 정책, 기본소득 구상 등 핵심 어젠다를 함께 설계해 왔습니다.
특히 성남시의 재정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모라토리엄 선언'과 무상교복, 청년배당, 산후조리비 지원 등 복지 정책은 이한주 위원장의 설계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이재명 대통령의 정치적 브랜드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정책 설계자이자 정치 참여형 학자
이한주 위원장은 학문적 연구를 넘어 실제 정책 설계와 실행에 깊이 관여해 온 정치 참여형 학자로 평가받습니다. 문재인 정부 시기에는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국민성장분과위원장, 국정기획자문위원회 경제 1 분과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중장기 경제정책 수립에 관여하였습니다. 또한, 이재명 경기도지사 시절에는 제13대 경기연구원장으로 재직하며 도정의 핵심 정책을 연구하고 설계하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는 기본소득, 지역화폐, 공공배당 등의 정책 구상을 함께하며, 복지국가로의 전환을 위한 정책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특히 기본소득에 대한 그의 연구는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역서, 2016)와 같은 저서를 통해 학문적 토대를 제공하였습니다.
민주연구원장과 국정기획위원장으로서의 역할
2024년 4월 21일, 이한주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 원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 민주연구원은 집권 전략과 중장기 정책 기획을 주도하는 기관으로, 이한주 위원장은 원장으로서 당의 정책 노선을 설계하고 정책 어젠다를 선도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이후 2025년 6월 5일, 이재명 대통령은 이한주 위원장을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으로 공식 임명하였습니다. 국정기획위원회는 대통령직속 정책 컨트롤타워로, 국정 철학을 구체화하고 중장기 국정과제를 설계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이한주 위원장의 임명은 학계와 실무, 정당 정책 역량을 모두 갖춘 인사를 중심으로 국정 운영을 기획하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방침을 반영한 인사로 평가받습니다.
주요 연구 및 저서
이한주 위원장은 다양한 연구와 저서를 통해 자신의 정책 철학을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그의 주요 연구로는 『기본소득이란 무엇인가』(역서, 2016),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화폐 도입에 관한 연구』(2017), 『잘사니즘, 포용적 혁신성장』(공저, 2025)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기본소득과 지역경제 활성화, 포용적 성장 등 그의 정책적 관심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정치 성향 및 영향력
이한주 위원장은 명확한 진보 경제학자로 분류되며, 시장주의보다 공공성과 재분배의 가치를 중시하는 입장을 견지해 왔습니다. 특히 기본소득은 그의 오랜 연구 주제이자 실현을 위한 사명처럼 여겨지는 정책입니다. 그의 정책은 다소 급진적이라는 평도 있으나, 복지국가로의 전환을 바라는 지지층으로부터는 큰 신뢰를 받고 있습니다.
그는 당내외에서 이재명 정부의 국정철학을 실무에 옮기는 핵심 인물로 꼽히며, 학문과 정책, 정치의 교차지점에서 중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이한주 위원장의 행보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집니다.
요약 프로필
- 이름: 이한주 (李韓柱)
- 출생: 1956년 11월 27일, 서울특별시
- 학력:
- 경복고등학교 졸업
- 서울대학교 생물학 학사
- 서울대학교 경제학 석사 및 박사
- 주요 경력:
- 가천대학교 글로벌경제학과 교수, 경영대학원장, 부총장
- 경기연구원 원장
- 문재인 정부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국민성장분과위원장
- 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 원장
-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
'K-민주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준경 대통령실 경제성장수석 이력 (0) | 2025.06.08 |
---|---|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이력 (0) | 2025.06.07 |
이재명 대통령이 2025년 6월 4일 지명한 새 정부 주요 인사들의 이력 (0) | 2025.06.04 |
이재명 대통령, 21대 대통령 취임 선서에서 밝힌 국정 운영 방향은? (0) | 2025.06.04 |
21대 대통령 후보 권영국 공약 (불평등을 갈아엎자) (0) | 2025.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