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정우 초대 AI 미래기획수석은 기술·정책·사회책임을 아우르는 드문 전문가로, 정부 AI 전략의 중심 허브를 맡게 되었습니다.
AI 주권 강화, 대규모 인프라 투자, 바우처 지급 등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실행 중심에 있는 만큼,
향후 정책 효과성, 산업과 시민의 균형 보호, 사회적 안전 보장 여부가 지켜볼 핵심입니다.
전문가 프로필
- 경력 요약
- 서울대 컴퓨터공학 학·석·박사(최우수 박사논문상 수상)
- 2015년 네이버랩스 입사, 2017–2020 “클로바 AI 리서치 리더”
- 2020년부터 네이버 AI랩 연구소장 및 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 “하이퍼클로바 X” 개발 주도
- 민간·학계·사회 활동
- 국제 AI 학회(ICML, NeurIPS) 논문 50편 이상 발표 및 심사·조직 위원
- 과실연(바른과학기술사회실현을위한국민연합) 공동대표, 광주 AI사관학교 교장 등
- 대표 이념: ‘소버린 AI(주권 AI)’
"국내 맞춤형 AI 모델과 인재 확보" 강조, 기술 자립 기반 구축 주창
주요 역할과 정책 방향
- 전략·예산 기획 및 실행
- AI 100조 원 투자 공약의 실질적 실행 방안 설계
- 정부·민간 협업 통한 AI 인프라 확충, 데이터 개방, 규제 완화 등 총괄
- 산업 전환 가속화
- 교육, 제조, 의료, 방산 등 산업 분야의 AI 전환 전략 수립
- 민간 중심 생태계 구축 및 중소·스타트업 지원 독려
- 전 국민 AI 바우처 제안
- “한 달에 2만 원 AI 바우처” 지급 제안: “AI 스타트업 시드머니 역할”
- “한 달에 2만 원 AI 바우처” 지급 제안: “AI 스타트업 시드머니 역할”
기대와 지지
다양한 분야에서 하 수석의 임명을 환영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진짜 AI 연구자, 개발자 겸 관리자가 왔다” – 조경현 교수
“AI 리터러시 강연 800회…공공성과 사회적 책임 고민한 분”
특히, 기술자 출신 민간 전문가가 직접 정책 총괄 역할을 맡은 것은 상징적이라는 평가입니다.
우려와 지적
- 민간기업 이해관계 우려
- 네이버 출신 인사라는 점에서 기업 이익과 국가 이익 충돌 가능성 지적
- AI 산업 중심 정책 편중 우려
- AI 산업 진흥에 집중한 나머지 안전·윤리·사회 분야 논의 소홀 우려
이들 단체는 "민·관 균형 거버넌스 필요"와 "시민 안전·인권 고려 정책 필수"라고 강조합니다.
반응형
'K-민주주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두번째 차관 인사(통일부,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0) | 2025.06.21 |
---|---|
대한민국 부동산 급등 원인 및 부동산 정책의 중요성과 필요성 (20250619) (0) | 2025.06.20 |
이재명 정부 국가안보실 1차장, 2차장, 3차장 이력 (0) | 2025.06.19 |
이재명 정부의 외교 정책 방향과 주요 과제 (일요진단 라이브 요약) (0) | 2025.06.15 |
이재명 정부에서 공정 측면에서 삼성의 역할을 어떻게 가져가야 하는가? (0) | 2025.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