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민주주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주도 전략" (AI, 반도체, 바이오)

by 민주주의 -자질,인사 및 공약- 2025. 6. 14.
반응형

 

삼성전자의 AI, 반도체, 바이오 사업은 서로 전략적 시너지를 내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AI 기술은 반도체 수요를 견인하고, 반도체는 AI·바이오산업의 인프라를 제공하며, 바이오 분야는 AI 분석과 반도체 기반 센서 기술과 융합합니다.

이재용 회장은 "지금이 산업 대전환의 문 앞에 서 있는 시기"라 강조하며, 삼성은 미래 산업의 규칙을 직접 설계하고 주도하는 입장에 서겠다는 방향을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1. AI 분야에 대한 이재용 회장의 전략

핵심 키워드: 이재용 AI 전략, 삼성 AI 반도체, 생성형 AI, NPU, AI 연구소, 인공지능 미래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20년 이후부터 인공지능(AI)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규정하고 본격적인 글로벌 주도권 확보에 나섰다. 특히 2023년 말부터 급속히 확산된 생성형 AI(ChatGPT 등) 트렌드는 삼성의 AI 전략 방향을 더욱 명확하게 만들었다. 그는 AI를 단순한 응용기술이 아닌, 반도체·모바일·가전 모든 제품에 통합될 ‘두뇌’로 보고 있다.

1.1 삼성 AI 센터의 글로벌 확장

삼성은 2018년부터 글로벌 AI 센터(Seoul, Toronto, Cambridge, Montreal, Silicon Valley, Moscow 등)를 설치해 약 1,000명 이상의 AI 석박사급 연구 인재를 확보해 왔다. 이재용 회장은 이들 센터를 중심으로 언어·영상 생성 모델, 초거대 AI, 로보틱스, AI 컴퓨팅 최적화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1.2 NPU 및 AI 반도체 전략

이재용 회장은 AI 처리 전용 프로세서인 **NPU(Neural Processing Unit)**를 강화하는 전략도 병행 중이다. 삼성은 엑시노스 칩셋에 탑재된 NPU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하며, 스마트폰, 스마트 TV, IoT, 자율주행차 등에 엣지 AI를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나아가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사업부를 통해 AI 최적화 칩 설계 고객을 유치하면서, 글로벌 AI 반도체 생태계의 허브로 자리매김하려 하고 있다.

1.3 생성형 AI 플랫폼 도전

2024년부터 삼성전자는 자체 LLM(초거대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생성형 AI 서비스도 기획 중이다. 모바일 기기에 특화된 온디바이스 AI와 서버 기반 클라우드 AI 연계 전략을 병행함으로써, 하드웨어·소프트웨어·서비스를 아우르는 통합 AI 경험을 제공하려 한다. 이재용 회장은 “AI 시대의 승자는 반도체와 알고리즘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자”라고 언급했다.

2. 반도체 분야에 대한 이재용 회장의 전략

핵심 키워드: 이재용 반도체 전략, 삼성 메모리 초격차, 파운드리 경쟁, 첨단 패키징, 반도체 투자 계획

반도체는 이재용 회장이 ‘대한민국의 운명 산업’이라 강조할 만큼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다. 삼성전자는 1990년대부터 메모리 반도체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제는 시스템 반도체(비메모리),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까지 통합적인 사업 확대를 꾀하고 있다.

2.1 메모리 반도체의 초격차 유지

이재용 회장은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시장에서 초격차 전략을 유지하고자 한다. 삼성은 세계 최초로 12단 3D V낸드, HBM3E(고대역폭 메모리), DDR5 등을 상용화하며 AI·서버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재용은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기술력으로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2.2 시스템 반도체와 파운드리 확장

삼성은 2030년 시스템 반도체 1위 목표 아래, 모바일 AP(엑시노스), 이미지센서(ISOCELL), 5G/6G 통신칩, 자동차 반도체까지 범위를 넓히고 있다. 이와 함께 파운드리 사업에서는 TSMC와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미국 텍사스에 20조 원 이상 투자한 오스틴·테일러 공장과 함께 첨단 3nm GAA(게이트 올 어라운드) 공정 양산을 확대하고 있다.

2.3 첨단 패키징·AI 반도체 전환

이재용은 패키징 기술력 확보도 전략 핵심으로 보고 있다. AI 반도체 수요 확대에 따라 HBM + CPU + GPU의 집적화 요구가 커지자, 삼성은 일본·미국에 첨단 패키징 전용 거점을 설치하며 글로벌 고객을 유치하고 있다. 2025년 이후 AI 중심 반도체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전략이다.

 

3. 바이오 분야에 대한 이재용 회장의 전략

핵심 키워드: 이재용 바이오 전략,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에피스, CMO,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바이오허브

바이오 산업은 이재용 회장이 직접 "제2의 반도체"로 명명한 신성장 동력이다. 그는 CMO(위탁생산), 바이오시밀러, 신약개발까지 아우르는 종합 바이오 전략을 통해 삼성그룹을 ‘글로벌 헬스케어 플랫폼’으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3.1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글로벌 생산능력 확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재용 회장의 전략적 결정 아래, 인천 송도에 세계 최대 바이오의약품 생산단지를 구축해 글로벌 CMO 1위를 달성했다. 2024년까지 5 공장(25만 리터 규모)이 완공되며 총 생산능력은 78만 리터로 확대되어 글로벌 톱 제약사들의 대규모 수주를 확보하고 있다. 이재용은 "인천을 글로벌 바이오의 수도로 만들겠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3.2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통한 바이오시밀러 확장

삼성바이오에피스는 레미케이드, 엔브렐, 휴미라 등 고수익 오리지널의약품의 바이오시밀러를 유럽, 미국 등지에 공급 중이며, 최근에는 안과질환 및 항암제 영역까지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이재용은 이를 통해 CMO 수익 의존도를 낮추고 자체 파이프라인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3.3 신약개발 및 글로벌 제약사 협력

삼성은 단순 위탁생산에서 벗어나 신약개발, CDMO(개발+생산), AI 기반 신약탐색 영역까지 전략을 확장 중이다. 미국, 유럽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협력하여 공동개발도 적극 추진 중이며, 이재용 회장은 "삼성 바이오도 언젠가 신약 하나쯤은 개발해야 하지 않겠느냐"는 발언으로 장기적 R&D 방향성을 시사했다.

반응형